원인을 알 수 없는 피부질환 증상, 색소침착, 이사증후군, 의복 접촉성피부염,

증상발생 : 4년전 겨울 갑자기 발생
증상 : 가려움증, 부어오름 (모기에 물린 증상과 유사)
과거 병력 : 없음
증상 지속 : 쌀쌀해지는 초가을부터 이듬해 여름까지
증상 범위 : 얼굴, 손, 발을 제외하고 전부

얼굴, 손, 발에 아무런 증상이 없어 피부과에서는 의복 접촉성피부염으로 진단받고 약을 처방해주었으며, 증상은 두드러기와 약간 차이가 있다고 합니다. 두드러기는 몸 전체로 빠르게 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저의 증상은 일단 증상이 발생하면 한 곳에 머물다가 증상이 낫고 색소침착이 된 후에도 같은 부위에 다시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장미색 비강진과는 다르게 홍반이 넓은 부위에 퍼져 크고 가려움증이 심하게 나타납니다. 처방받은 독한 약을 복용하고 바르게 되면 일시적으로 증상이 가라앉지만 시간이 지나면 다시 시작되서 계속 긁게 되고, 실내 습도가 높아지는 여름에 잠시 가라앉았다가 가을에 다시 시작됩니다. 이번에는 여름이 끝나기 전에 다시 나타나 증상이 나타나 증상이 더 오래 지속되고 있습니다.

원인불명 : 모든 문제를 조사 및 점검하였고, 의류 및 침구류는 진드기 관리 업체를 통해 정기적으로 청소하였으며, 처음 문제 발생 시 세탁세제를 교체한게 문제가 되나 싶어 이전에 쓰던 세제로 다시 교체했습니다.

헌집증후군이라해도 바로 이사 갈 곳도 없고, 만약에 피부병 때문에 이사를하더라도 같은 증상이 또 나타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피부병 때문에 이사하기엔 독한 약으로 평생 버틸 수 밖에 없나요?

답변 드립니다.

증상을 고려할 때 전형적인 두드러기와는 다르게 보이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현재까지는 약물을 복용한 것 외에는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지 않았는데, 이와 같은 피부 변화가 4년 동안 계속되었다면 가까운 대학병원 피부과를 찾아가서 조직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조직검사를 통해 피부 변화의 정확한 상태를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진단과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새로운 피부 변화가 나타날 때 조직검사를 받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므로, 증상이 심해질 때 꼭 방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의료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고 적절한 치료를 받기를 권장합니다.


게시됨

카테고리

작성자